반응형
브라우저의 저장소에는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로컬 스토리지 (Local Storage),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
로컬 스토리지 (Local Storage) 는 HTML5 에 추가된 저장소이다. 간단한 키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곳이며, KEY - VALUE 형태이다.
로컬 스토리지와 세션 스토리지의 차이점은 데이터의 영구성이다. 로컬 스토리지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지우지 않는 이상 계속 남아있다. 세션 스토리지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윈도우나 브라우저는 닫으면 제거된다.
자동로그인 등 지속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일회성 로그인 정보 등 잠깐 필요한 데이터는 세션 스토리지에 저장하면 됩니다.
로컬 스토리지
localstorage.getItem();
세션 스토리지
sessionStorage.getItem();
그렇다면 쿠키(Cookie) 란 무엇일까?
쿠키는 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다. 쿠키에 저장된 데이터가 모든 HTTP 요청마다 포함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트래픽이 증가하여 서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하나의 쿠키값에 4KB를 저장한다.
쿠키
document.cookie
참고
https://www.zerocho.com/category/HTML&DOM/post/5918515b1ed39f00182d3048
반응형
'Front-End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의 첫걸음) npm (node Package Manager) 란? (0) | 2021.10.01 |
---|---|
(프론트엔드의 첫걸음) 바벨(Babel) 이란? (0) | 2021.10.01 |
(프론트 엔드의 첫걸음) 3. 브라우저 동작 원리 (0) | 2021.02.16 |
(프론트 엔드의 첫걸음) 2. HTTP 란 무엇인가? (0) | 2021.02.15 |
(프론트 엔드의 첫걸음) 1. 인터넷 작동 원리 (0) | 2021.02.1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