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3주차 회고 3주차부터는 본격적이 과제의 시작이라고 느꼈다. 서버 구축부터 시작하여 기존 셋팅된 프로젝트가 아니라 처음부터 셋팅해야하는 일이었다. 3주차에서는 3가지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이었다.팀별로 하나의 주제로 통일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팀과 연합(?)을 하여 진행하도록 했던 것 같다.우리 팀의 경우는 하나의 주제로 통일된 덕분에 마지막까지 함께 갈 것 같다. 우리 팀은 e-커머스 서비스 를 선택하였다. 기존 기수까지는 콘서트 예약 서비스가 인기가 많았었다고 한다.동시성 테스트부터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e-커머스를 많이 선택할 수 있도록 기존 요구사항에서 선착순 할인 쿠폰 기능이 추가 되었다. 이 덕분에 많은 수강생들이 ..
Etc 검색 결과
항해 2주차 회고 2주차의 과제는 클린아키텍처였다. 1주차에 이어 진행되는 과제였기 때문에 1주차&2주차는 허재 코치님이 진행하였다. 강의 발제를 진행할 때, 비유를 하여 설명하셨기 때문에 귀에 쏙쏙 들어오는 반면에, 한번 더 생각에 만들어주시는 것 같았다. 자체적으로 고민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시는데 난 그 시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쉬움이 남았다.2주차 과제는 특강 신청 서비스 였다. 나의 경우 DB는 H2 database 를 활용하였다. Docker는 사용해본 적이 없어 마냥 어렵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이번 과제의 경우에는 동시성 테스트도 무조건 작성해서 2 PASS 를 받아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퇴근 후, 과제에만 매달려 살았던 것 같다. 출퇴근 시간에는 버스에서 기절해있다가 집 도착하..
항해 1주차 회고 2024년 12월, 항해 1주차가 시작되었다. 회사에서 다루지 못했던 TDD에 대해서 학습한 뒤 과제가 시작되었다. 이전부터 TDD와 테스트 코드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있었지만 현업에서 사용할 일이 없었기 때문에 직접 활용한 적은 적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깊이 공부할 수 있었다. TDD & 클린 아키텍처 1주차 과제는 기존 셋팅되어 있었던 프로젝트 기반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처음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많이 어려웠지만 작성하다 보니 템플릿이 거의 비슷하여 응용하는 정도였다.과제를 끝낸 뒤 PR을 올려 PR링크를 항해 홈페이지에 제출하여 평가를 받는 시스템이었다. 1주차 과제는 하헌우 코치님께 피드백을 받았었는데, 2개의 과제 중 1개는 FAIL 을 받았었다. ..
항해를 시작하기 전에 지난 기수였던 6기 때문에 고민을 많이 했다. 이력서 첨삭을 받던 중에 항해라는 백엔드 주니어 코스를 소개받았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금액도 비싸고 일정이 있어 10주간의 모든 여정을 함께하기엔 어려워 고민만 하다가 넘겼었다. 다음 기수 신청 알림이 떴을 때에도 고민만 주구장창했었다. 얼리버드 할인 마지막날까지 고민했었던 것 같다. 결혼 후 남편과 공동 생활비로 지출을 하다보니 교육비가 꽤나 비싸기도 했었고, 직장을 다니면서 10주동안 잘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기도 했다. 회사가 엄청 바쁘진 않아도 한가하진 않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신혼생활을 즐기고 있어서 주말에는 데이트 하느라 정신 없는데 공부까지 해야하다니.. 항해하러 떠나보자남편과 긴 상의 끝에 얼리버드 마지막날 결제하였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Monitoring 의 줄임말로써,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응용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서비스 안정성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사내에서 APM 툴로 오픈소스인 스카우터(Scouter)를 활용하였다. 스카우터는 LG CNS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APM이다. 간단한 설치 및 직관적이고 다양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1. Scouter 다운로드https://github.com/scouter-project/scouter/releases Releases · scouter-project/scouterScouter is an open source APM (Application Performa..
1. Redis 란 레디스(Redis)는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이다. 키-밸류(key-value) 데이터 구조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 구조를 제공하며,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이다. 최신 버전의 레디스는 PUB/SUB 형태의 기능을 제공하여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저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레디스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에 제약이 있어, 주로 보조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레디스 클러스터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는 백업 기능을 제공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주 저장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
최근댓글